AI 개발에 대규모 GPU는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. 한국 정부는 2025년 초 부족한 GPU를 공공 인프라 형태로 제공할 계획을 발표하였다. 이 시리즈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. 그런데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설계를 기반으로 다양한

글쓰기, 여행, 프로그래밍, 리뷰
AI 개발에 대규모 GPU는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. 한국 정부는 2025년 초 부족한 GPU를 공공 인프라 형태로 제공할 계획을 발표하였다. 이 시리즈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. 그런데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설계를 기반으로 다양한
프로그래밍 언어 월드컵 TIOBE Index는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순위를 주기적으로 발표하는 사이트이다. Python이 1등을 차지한 것은 별로 놀랍지 않지만, C++, C 언어가 2, 3위 인 것은 꽤 놀랍다. 단순하게
GPU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기 위해서는 AI 발전의 역사를 살펴 보아야 한다. 특히 2번째 AI 겨울을 끝내고 지금의 AI 기술의 확산에 큰 기둥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.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1950년대
AI 리터리시란 무엇인가? AI 리터러시, 모두 영어로 적혀 있는 AI 리터러시는 무엇일까? 쉽게 말해서 AI 리터러시는 AI를 잘 활용하는 것 뿐 아니라 AI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오류 없이 사용하고, 결과물이 윤리적
이번 포스팅에서는 GPU가 어떻게 AI 시대의 핵심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겠다. 우선 GPU의 탄생 배경에 대해서 이야기를 좀 하려고 한다. GPU라는 기술은 결국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고, 그 연산 능력은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
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, 회사, 지역 및 각종 뉴스와 정보는 허구에 기반하였으며 동일한 이름을 가진 인물, 회사, 지역은 작가의 상상력과 실제 지명이 우연히 일치한 것이며 어떠한 연관성이나 의도를 가지고 있지
이번 포스팅에서는 GTC 2025 키노트 발표 내용 중 Hopper의 성능 향상을 설명하는 그래프를 해석해 보자. 젠슨 황이 발표 중에 “우리는 수학적인 표현을 대중적인 스피치에서 전달하는 몇 안 되는 회사다”라고 말하기도